백준 c++/(1-2)백준 c++ 알고리즘 기초

백준 16940 BFS 스페셜 저지 c++

현구구 2023. 1. 13. 14:41

https://www.acmicpc.net/problem/16940

 

16940번: BFS 스페셜 저지

올바른 순서는 1, 2, 3, 4와  1, 3, 2, 4가 있다.

www.acmicpc.net


문제

BOJ에서 정답이 여러가지인 경우에는 스페셜 저지를 사용한다. 스페셜 저지는 유저가 출력한 답을 검증하는 코드를 통해서 정답 유무를 결정하는 방식이다. 오늘은 스페셜 저지 코드를 하나 만들어보려고 한다.

정점의 개수가 N이고, 정점에 1부터 N까지 번호가 매겨져있는 양방향 그래프가 있을 때, BFS 알고리즘은 다음과 같은 형태로 이루어져 있다.

  1. 큐에 시작 정점을 넣는다. 이 문제에서 시작 정점은 1이다. 1을 방문했다고 처리한다.
  2. 큐가 비어 있지 않은 동안 다음을 반복한다.
    1. 큐에 들어있는 첫 정점을 큐에서 꺼낸다. 이 정점을 x라고 하자.
    2. x와 연결되어 있으면, 아직 방문하지 않은 정점 y를 모두 큐에 넣는다. 모든 y를 방문했다고 처리한다.

2-2 단계에서 방문하지 않은 정점을 방문하는 순서는 중요하지 않다. 따라서, BFS의 결과는 여러가지가 나올 수 있다.

트리가 주어졌을 때, 올바른 BFS 방문 순서인지 구해보자.

입력

첫째 줄에 정점의 수 N(2 ≤ N ≤ 100,000)이 주어진다. 둘째 줄부터 N-1개의 줄에는 트리의 간선 정보가 주어진다. 마지막 줄에는 BFS 방문 순서가 주어진다. BFS 방문 순서는 항상 N개의 정수로 이루어져 있으며, 1부터 N까지 자연수가 한 번씩 등장한다.

 

출력

입력으로 주어진 BFS 방문 순서가 올바른 순서면 1, 아니면 0을 출력한다.


 

#include <iostream>
#include <vector>
#include <queue>
#include <algorithm>
using namespace std;

int N;
vector<int> rel[100001];
int input[100002];

bool bfs()
{
    if (input[1] != 1)//무조건 루트노드인 1부터 input돼야함
		return false;
	queue<int> q;
	q.push(1);
	int index = 2;//1은 고정이니 2번째부터 찾아보기 시작할거임
	int size = rel[1].size();
	while (!q.empty())
	{
		int parent = q.front();
		q.pop();
		if (parent != 1)//부모가 1(루트)이 아니면 부모랑 연결edge를 제외해야하므로 size 1 감소
		{
			size = rel[parent].size() - 1;
		}
		while (size>0)
		{
			bool check = false;
			auto it = find(rel[parent].begin(), rel[parent].end(), input[index]);
			if (it!=rel[parent].end()) // 찾았다면 
			{
				check = true;
				if (rel[input[index]].size() > 1)
				{
					q.push(input[index]);
				}
				index++;
				size--;
			}
			if (!check)
				return false;
		}
	}
	return true;
}

int main()
{
	cin >> N;
	for(int i=0;i<N-1;i++)
	{
		int a, b;
		cin >> a >> b;
		rel[a].push_back(b);
		rel[b].push_back(a);
	}
	for (int i = 1; i <= N; i++)
	{
		cin >> input[i];
	}
	if (bfs())
		cout << 1<<'\n';
	else
		cout << 0<<'\n';
}

1. 문제에서 루트노드는 1로 고정이다. 그러므로 bfs가 실행되었을 떼 첫 번째 값 input[1] 이 1이 아니라면 return 해준다.

 

2. 루트노드인 1을 queue에 넣어주고 

index : input배열의 인덱스

size : parent노드와 연결되어있는 노드 개수

를 선언한다.

 

3. parent는 queue에서 제일 앞에 있는 값이 된다.

이 떄 루트노드(1)를 제외하고 2번째 레벨부터 있는 노드들은 자식 노드들만을 파악해야 하므로 size에서 1을 빼준다.

4. #include <algorithm>의 find함수를 사용한다.

인자로는 (vector의 시작, 끝, 찾으려는 값) 을 넣는다.

 

5. 만약 find함수가 마지막 값을 리턴한다면.

it = rel[parent].end() 를 리턴한다면 목표값을 찾지 못한 것이다.

만약 값을 찾았다면 목표값을 queue에 넣어준다.

 

6. parent의 자식을 다 검사할 때 까지 3.부터 반복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