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리얼 몬스터 추가 먼저 블루프린트 폴더에 부모클래스가 Character인 블루프린트를 하나 생성한다 오른쪽 매쉬 부분에 고블린 매쉬를 찾아서 넣어주고 캡슐에 맞도록 크기를 설정해준다 이후 애니메이션 폴더에 애니메이션 몽타주를 하나 만들어주고 스켈레톤은 고블린으로 설정한다 New State Machine 을 추가하고 안에는 IDLE애니메이션을 추가한다 이제 위에 생성한 몬스터 블루프린트->매쉬 에서 애니메이션을 지정해준다 그리고 뷰포트에 몬스터를 추가하면... 언리얼 개인 프로젝트/언리얼 블루프린트 2022.07.16
언리얼 공격 콜리전 추가 캐릭터 블루프린트로 들어가서 애니메이션 모드를 use Animation Asset으로 바꿔준 뒤 캡슐 콜리전을 추가해서 Mesh에 상속되도록한다 이때 캡슐 콜리전의 디테일 패널에서 부모 메시에 따라다닐 소켓을 지정해주고 Shape를 칼에 맞게 지정해준다 콜리전 캡슐은 칼에 고정시켜주고 상세설정은 다음과같이 해논다 그리고 블루프린트에서 자신이 아닌 다른 콜리전이 있는 오브젝트와 닿았을 시 해당 오브젝트를 파괴하도록 코드를 짠다 공격 애니메이션 몽타주에서 공격에 콜리젼을 넣을 부분과 끝나는 부분을 각각 새 노티파이로 잡아준다 캐릭터 블루프린트에서 [커스텀 이벤트 추가] -> OnCollStartAttack과OnCollEndAttack을 만들어준다 이제 캐릭터 애니메이션 블루프린트에서 해당 노티파이가 실행되면.. 언리얼 개인 프로젝트/언리얼 블루프린트 2022.07.15
언리얼엔진 점프모션 / 2단점프 캐릭터 블루프린트로 가서 위 키를 누르면 점프가 되도록 노드를 연결한다 그리고 점프 할 때 실행할 점프 애니메이션 몽타주를 연결해준다 캐릭터에게 점프를 시키고 뒤에 SetMaxJumpCount노드를 추가하여 2단 3단 점프를 설정할 수 있다. 아래에 OnLanded 이벤트를 추가해 땅에 있을 떄 Stop Anim Montage를 통해 애니메이션이 멈추도록 만든다. 언리얼 개인 프로젝트/언리얼 블루프린트 2022.07.15
언리얼엔진 공격모션 애니메이션 블루프린트 공격 애니메이션 우클릭->생성->애님몽타주 생성->이름은 firstAttack으로 한다 이제 캐릭터 블루 프린터로 가서 z키를 눌렀을 때 애니메이션이 실행되도록 노드를 연결해준다. 이 때 Anim Montage는 방금 생성한 애니메이션 몽타주인 firstAttack으로 설정해주어야 한다. 먼저 우클릭으로 branch라는 노드를 생성해주고 왼쪽 변수에서 +버튼을 눌러 isattacking이라는 변수를 생성해주고 노드를 끌어온다 그리고 get isattacking을 branch에 연결, 그리고 branch의 False값을 Set isAttacking에 연결한다 애니메이션이 끝나면 isattacking변수 false로 만들기 다시 방금 만든 firstAttack 애니메이션 몽타주로 돌아가 노티파이를 추가한다 .. 언리얼 개인 프로젝트/언리얼 블루프린트 2022.07.11
언리얼엔진 대기자세,달리기 애니메이션 애니메이션이라는 폴더를 하나 만들고 우클릭을 해서 애니메이션->애니메이션블루프린트 이후 애니메이션에 사용한 스켈레톤을 선택해준다. 애니메이션 블루프린트로 들어가서 New State Machine, DefaultSlot을 만들어주고 다음과 같이 연결해준다. New State Machine으로 오른쪽에서 해당하는 애니메이션을 찾아 이렇게 연결해준다. 이 프로젝트의 경우 대기자세는 Idle, 달리는 중의 모션은 Jog_Fwd이다. 저 화살표 부분을 더블클릭하면 해당 블루프린트 화면으로 넘어갈 수 있는데 이 코드는 해당 캐릭터의 속도가 0.1이상이 된다면 즉, 움직이게 된다면 Idle 에서 다음 애니메이션인 Jog_Fwd 로 넘어간다는 뜻이다. 반대로 대기자세로 돌아가는 코드는 속도가 0.1보다 작도록 설정하면.. 언리얼 개인 프로젝트/언리얼 블루프린트 2022.07.10
언리얼엔진 걷기/대쉬 블루프린트 캐릭터 블루프린트에서 Released 즉 쭉 눌렀을 때는 150의 속도로 걷게된다. 이제 0.5초 간격으로 연속으로 따닥 두번 오른쪽 키를 눌렀을 때 다른 코드로 넘어가게 된다. 이 때 대쉬할 때의 속도는 800으로 해주었다. 언리얼 개인 프로젝트/언리얼 블루프린트 2022.07.10
언리얼 플랫폼 바닥 통과하기 블루프린트 윈도우에 우클릭 한 뒤 블루프린트 클래스 -> 액터를 클릭한다 생성한 블루프린트에 들어가서 왼쪽 상단의 컴포터는 추가 ->"큐브" 입력하여 큐브를 하나 생성한다. 큐브가 생성되면 큐브 클릭 -> 단축키 "R" -> 크기 조절을 하여 평평한 바닥을 만들어준다 이제 다시 왼쪽 상단 컴포넌트 추가에서 "box collision"을 입력해 추가가해준다. 추가해준 박스는 단축키 w로 이동시켜 방금 생성한 플랫폼 아래에 위치시켜주고 다시 단축키 R로 크기를 플랫폼에 맞게 조절해준다. 이후 복사 붙여넣기로 플랫폼 위에 박스도 동일하게 만들어준다 이후 컴파일하고 이벤트그래프로 넘어간다. 이벤트그래프에서는 방금 생성한 under를 우클릭해서 OnComponentBeginOverlap과 OnComponentEndOverl.. 언리얼 개인 프로젝트/언리얼 블루프린트 2022.07.10